자본시장도 결국에는 시장 구조로 가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는 결국에는 자기가 돈을 가장 많이 벌수 있는 자산으로 자본을 투자하고 결국에는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가장 기대 수익률이 높은 자산으로 돈이 몰리게 됩니다. 그리고 돈이 몰리게 되면 계속 몰리게 되는 동안에는 가격이 계속 오를수 밖에 없는 것이죠.

자본 흐름은 결국 상대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이는 자산으로 가는 것이죠.

여기서 어제 생각하던 도중 어떻게 보면 한국의 구조적으로 활기가 없는 자본시장과 경제구조가 큰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상대적으로 미국에서는 엄청난 자본이 스타트업 / 기업에 투자가 되고 있습니다 (물론 부동산에도 많은 투자가 되고 있지만요) - 이것은 미국 가정의 자산 분배에서 보이지요. 중산층의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과 다르게 미국의 중산층의 순자산의 62% (순자산 4억원이하) 그리고 중상층 (순자산 5억원이상 100억원 이하) 의 자산은 부동산이 오직 26%밖에 차지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의 가정의 자산분배입니다 - Source: Visual Capitalist

 

부동산에 자산분배가 적고 상대적으로 기업지분의 비중이 높은 것은 바로 미래에 대한 생각이 더욱 긍정적으로 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한국의 집값의 가파른 상승은 미국과 다르게 중상층에서도 지속적으로 공격적인 부동산 매입에 나서면서 일어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미국에서는 경제가 계속 성장하고 새로운 기업들이 또 성장을 이끌어 갈것이라는 전반적이 믿음이 있기때문에 자본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부동산이 아닌 (부동산은 레버리지를 일으킬수 있고 전반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인구증가를 통해서 안정적인 수익을 낼수 있는 자산이지요) 좀더 위험자산인 기업에 많이 투자를 하는 것이지요.

저는 가장 크게 세가지 이슈가 한국에서 기업투자를 매력적이지 않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1. 한국의 대기업 위주를 경제 구조가 결국에는 불안정한 기업 생태계를 만들며 (협력사가 너무 커지면 단가를 후려치고 경쟁사는 싹을 잘라버리는 구조이죠),

2. 정부/국회의 일관성이 없는 정책으로 전반적으로 장기적인 관점으로 사업하기도 어려운 환경 조성 - 5년뒤면 완전 뒤집힐지 모르는 정책을 기반으로는 장기투자를 할수 없습니다.

3. 상장기업들 또한 대주주의 승계를 가장 중요시하며 소액주주에게는 우호적이지 않고 동시에 주주환원정책도 굉장히 미흡합니다.

그럼 당연히 일반인으로써 자기가 직접 관리할수 있고,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가치 상승을 기대할수 있는 자산인 부동산에 자본이 몰릴수밖에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채권시장은 이제 엄청난 저금리로 가면 갈수록 자산으로써의 매력이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기업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지않는다면 결국에는 계속 자본흐름은 부동산으로 몰리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파트의 펀더멘털가치를 떠나서 자본흐름이 계속 부동산으로 몰리고 부동산의 특성상 유동성이 낮기때문에 가격의 가파른 상승은 어쩌면 계속 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국에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정해지는 것이니까요. "뉴욕 집이 10억인데 어떻게 강남집이 20억이야"라는 논리는 이제 더이상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매력적인 자산이 빨리 나타나서 자본흐름이 분산되며 부동산 가격이 빠지지는 않더라도 조금이라도 천천히 상승하는 것도 결국에는 우리나라에 좋은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분 모두 희망을 갖고 똘똘한 좋은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건 어떠신가요? 자본흐름이 한곳에 쏠리면 당연히 다른 시장에는 돈이 상대적으로 덜 몰리며 매력적인 투자대상이 널려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이글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셨거나 재밌게 읽으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 저에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은 미국회사를 분석할때 기관투자자를 포함한 많은 투자자들이 간과하는 점이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펀더멘털이면서도 간편하게 하기위해서 건너 뛰는 바로 손익계산서 (P&L)입니다.

손익계산서에서 뭐가 크게 달라질게 있는지 궁금해하실텐데요. 제가 한국회사는 잘 안보지만 미국 회사를 볼때는 미국회사들은 두가지 손익계산서를 보여줍니다. 바로 미국 GAAP(회계기준)에 맞는 정식 회계상 손익계산서와 Non-GAAP( 회계기준에 맞지 않는) 간편 손익계산서 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이전에는 레버리지가 높은 회사들이라도 사업이 안정적이라면 간편손익계산서로 투자 결정을 해도 괜찮았지만 코로나 쇼크를 받은 경제에서 레버리지가 높은 회사들은 간편손익계산서로만 분석을 하게 되면 위험할수도 있기 때문에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설명: 현재는 BHC로 사명을 변경한 Valeant가 유명한 브랜드인 보톡스를 보유한 알러간을 적대적으로 인수하려고 할때 앨러간은 Valeant의 간편 손익계산서는 실적을 굉장히 부풀렸다고 했습니다.

원래 Non-GAAP의 취지는 계속 발생하지 않는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손익계산서를 보여주며 투자자들이 이전 분기의 손익계산서를 간편히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이것저것 추가하기 시작하며 Non-cash 손익계산서로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마진의 중요한 척도들 하나로 뽑이는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Depreciation) 을 볼때 요즘은 Adjusted EBITDA가 굉장히 유행하고 있습니다. Adjusted EBITDA에는 보통 회사들이 share-based compensation (주식보상비용)을 다시 더해주고 회사에 생각할때 일회성 비용으로 생각하는 것도 더해주면서 EBITDA를 키워주는 것이지요.

아래를 보시면 이런식으로 이것 저것 다시 넣어주기 시작하면 EBITDA마진이 35%인 회사가 순식간에 EBITDA마진이 50%가 되는 기업이 되어 버립니다.

기업의 EBITDA 마진이 35%냐 50%냐 차이점은 회사의 EBITDA를 부풀리는 것에 국한 되지 않습니다. 50% 마진을 갖춘 사업이라면 더욱 좋은 퀄리티의 실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가격경쟁이나 경쟁강도가 덜한기때문에 더욱 예측가능성이 높은 사업으로 보일수 있습니다) 더 높은 멀티플 (EV/EBITDA)를 받으며 더 높은 밸류에이션에 기업이 가치평가를 받을수 있는 것이지요.

이렇게 계속 숫자를 다시 넣어주는게 가장 심한 회사가 바로 Valeant (현재 ticker: BHC)였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GAAP회계상으로 나오는 현금흐름과 경영진이 보여주고 싶은 간편 현금흐름 (adjusted cash flow)의 격차가 계속 늘어가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설명: 2010년에는 $224mm 차이가 났지만 2013년에는 $743mm이나 차이가 나며 2010-2014사이에 누적된 차이점이 총 $1,822mm (2조원 이상)에 달했었습니다.

 

Valeant는 제가 좋아하는 투자자인 Bill Ackman의 Pershing Square조차도 에쿼티 스토리에 빠지게 하였습니다.

설명: 당시 Pershing Square 또한 Cash EPS 라는 간편 손익계산서 지표를 쓰면서 회사가 굉장히 저렴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앨러간 인수에 실패한 Valeant는 결국에는 1) 미국 대통령 선거중 힐러리 약값 Twit, 2) 다양한 유명 공매자들의 현금흐름에 대한 의구심 제시, 3) 실적을 좋게 보이게 도움을 주었던 자회사 (Philidor)의 3단 콤보로 한때 $250에 달했던 주식이 일년만에 $30까지 내려오게 됩니다.

Valeant라는 이름은 너무나 불명예가 되어 경영진이 바뀐후 자회사중에 가장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Bausch+Lomb의 브랜드를 가져와서 Bausch Health Company로 사명을 변경하고 주식 Ticker또한 BHC로 바꾸었습니다. 미국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 "돼지에 립스틱을 바른다". 돼지는 아무리 열심히 립스틱을 발라줘도 미녀로 변하진 않겠죠...

그렇다면 왜 하필 지금 이런 회사들을 조심해야할까요? 왜냐하면 코로나같은 경제 쇼크 기간에 한계 기업들이 위기에 몰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한계 기업으로 이미 알려진 기업도 많지만 좋은 회사로 둔갑되어있지만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기업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런 기업들이 빚이 많다면 현금흐름의 변화에 굉장히 취약하기때문에 꼭 자세히 보셔야합니다.

그런 기업들은 보통 펀더멘털이 별로 좋지 않지만 투자자에게 좋은 에쿼티 스토리를 잘 설명하는 경영진이 많아서 평상시에는 주식이 계속 오릅니다. 그리고 자본시장을 아주 잘 활용하며 사세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경제 쇼크로 자본시장이 문을 닫게 되면 펀더멘털은 쉽게 망가지지기 때문에 순식간에 탄탄해 보이던 회사가 위기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컨셉을 간단히 설명해보았는데요 – 다음에는 제가 어떤 방식으로 이런 위험한 기업들을 찾아내는지에 대해서 예를 들며 설명해보겠습니다.

이번 글로 새로운 것을 배우셨다면 꼭 추천/공감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저는 오늘 EDZ라는 ETF를 샀는데요. 이 ETF는 Direxion Emerging Markets Bear 3x라는 상품으로 신흥시장 인덱스의 움직임을 인버스로 3배가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만약에 신흥시장의 주가가 10%가 하락한다면 (-10%) 이 포지션은 30%가 오르는 것이죠 (+30%). 실질적으로 이머징 마켓을 쇼트하는 것이죠.

이 상품은 구성은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이게 최근에 발표된 것으로 보이네요) 27% 중국, 15% 한국, 12% 대만 등으로 구성되며 가장 큰 주식은 4.5% 텐센트, 4.0% TSMC, 3.8% 삼성전자 등으로 구성되어있네요.

출처: Direxioninvestments.com

제가 이상품으로써 추구하는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무역전쟁이 심화되면 선진국의 경제에도 타격이 있지만 경제체력이 상대적으로 허약한 신흥시장에 데미지가 더 클 것이다 - 미국이 기침을 하면 한국은 독감이 걸린다는 말이 많죠.

2. 이머징 마켓의 선진국대비 거의 유일한 장점인 저렴한 인건비가 가파르게 오르며 그 장점이 사라져 경쟁력이 사라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신흥시장의 국가는 인건비 경쟁력을 대체할만큼의 혁신이나 혁신을 지켜주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3. 모든 포지션이 롱이라서 헤지가 어느정도 필요한데 헤지에 자본을 넣고 싶지 않아서 3배 레버리지 상품을 활용한다.

3배인 만큼 정말 위험한 투자이므로 전 단기적으로만 활용할 계획입니다. 전 애널리스트 다보니 트레이딩을 잘 모르는데 이런 상품 투자로 많이 배울 수 있으면 좋겠네요.

혹시나 도움되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려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해외투자 #이머징마켓투자 #이머징마켓쇼트 #미국성장투자전략 #해외주식투자 #해외주식투자전략 #해외주식트레이딩전략 #매크로트레이딩 #주식트레이딩전략 #리스크헤지전략

저는 애석하게도 바이오/제약 주식을 제일 잘 알지면 바이오/제약 주식을 투자를 할수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워낙 주식 투자를 좋아하고 주식투자의 힘을 믿기 때문에 여기저기서 투자 아이디어를 캐어내서 저의 개인 돈을 태우고는 합니다. 전 그리고 이 투자자분들을 몇년동안 팔로우하고 책도 읽고 인터뷰도 보면서 존경하는분들이기때문에 제 나름으로는 비중있게 투자를 해왔습니다.

여기서는 제가 개인적으로 투자를 했던 아이디어를 다루고 싶습니다. 제가 다른 유명한 펀드의 포지션을 따라하는 개인적인 투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내가 존경하는 유명한 펀드의 큰 포지션이고 그 펀드의 투자자 서한에 그 투자건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적혀있는가;

2. 그 투자 설명이 잘 되어있으면 나는 전반적으로 그 펀드의 thesis에 동의를 하는가;

3. 그 펀드가 그 포지션을 넣었을 때의 주가는 지금의 주가보다 아래이거나 비슷한가;

4. 이 투자건은 내가 개인 투자자로써 누리는 장점인 1) 장기투자와 2) 유동성을 적극 활용할수있는가;

5. 절대 수익을 가능하게 해주는 special situation 투자건인가;

6. 배당을 주면 금상첨화.

보통 유명한 펀드들은 한개의 아이디어에 엄청난 시간과 돈을 쏟아붙어서 (몇십억에서 몇백억) 투자를 집행합니다. 왜냐하면 몇천억에서 1조이상을 투자를 할경우도 있기때문이죠.

제가 참고하는 펀드는 보통 아래와 같습니다.

- Pershing Square Capital Management – 빌 애크만의 펀드이죠. 특히 public investment vehicle이 있어서 정보를 찾기가 훨씬더 용이합니다.

- Third Point – 댄롭의 펀드이죠

- Icahn Enterprises – 칼 아이칸의 펀드이죠

이곳에서 전화가 오면 CEO들이 그다지 좋아한지않는다네요.. 뭔가 경영을 바꾸라고 하기때문이죠...

물론 여태까지 제가 투자를 해서 돈을 잃은 적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수익을 보았던 것 같네요.

여러분도 한번 유명한 펀드의 투자자 서한을 읽으시면서 영어 공부도 하시고 좋은 투자 아이디어를 받아보실수있길 바랍니다!

#행동주의투자 #미국투자 #배당주투자 #specialsituation주식투자 #개인도specialsituation주식투자가가능하다! #칼아이칸 #빌애크만 #개인돈미국주식투자 #해외주식투자 #바이오투자가아닙니다 #activist투자 #댄롭 #이것이바로절대수익 #다된밥에숫가락놓는투자 #그래도돈은잃습니다 #투자는항상조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