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어트레이딩 전략은 시장이 빠지고 오르는것을 헤지하면서 동시에 한개의 이벤트에서 이득을 보는 회사를 사고 (롱) 손해를 보개되는 회사를 공매하여 (쇼트) 아니면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이 너무 높은 회사를 공매하고 (쇼트)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이 너무 싸진 회사를 사서 (롱) 절대수익을 내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최근 네이버에서 파워블로거이신 약장수님의 블로그에서 얘기를 하다가 나온 얘기인데요. 거기서 나온 애기를 예로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미국은 오피오이드 (아편 양재제 - 통증완화)로 엄청 시끄러워서 오피오이드없이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 굉장히 큰 테마가 되었습니다. 이런 테마에 편승해서 롱 온리 (뮤츄얼펀드) 매니저들은 매크로만 보고 그쪽 관련 승인제품이 있는 회사를 그냥 사재기를 하면서 그쪽 밸류에이션이 굉장히 높게 오르게되었습니다.  그 테마로 가장 큰 수혜를 받은 회사가 파시라 (Pacira) 인데요. 주식이 최근에 엄청 많이 올랐죠 ($30대에서 $40중반까지 올라왔습니다). 

 

여기서 페어트레이딩의 기회는 현재 승인된 제품이 있는 회사를 집중적으로 사재기를 하면서 생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파시라는 주식이 엄청 올랐지만 승인을 앞둔 헤론 (Heron)은 그 시장의 흐름에 편승하지 못한 것이죠.

 

헤론의 약은 만약 승인이 된다면 더 좋은 약이기때문에 파시라의 시장을 바로 장악하게 되고 헤론의 매출이 오르고 파시라의 매출이 줄게되면 시장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달라지며 헤론의 주식이 오르고 동시ㅔ 파시라의 주식이 빠지게 되며 수익이 일어나게 되는것이죠.

 

위에는 오피오이드로 설명드렸지만 이런 꼭 이벤트성 페어트레이드를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현대차와 기아차의 밸류에이션의 차이가 잘못되었다면 다시 비슷해질것이다 라는 뷰를 갖고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