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조용히 하루를 마치고 글을 읽던중 어이가 없는 인터뷰를 다룬 기사를 읽게 되어서 이렇게 공유합니다.

바로 어떤 펀드매니저의 불평인데요 - 요즘 월스트리트에서 핫이슈가 된 "개미 투자자들의 갑작스런 유입이 어떻게 시장 논리를 변화시켰느냐"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이 펀드매니저는 거의 무슨 개미 투자자들이 무식하게 무변별하게 주식과 옵션 매수에 나서면서 현재의 고평가 시장을 만들었다고 핑계를 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지금 현재 S&P는 내년 어닝 (EPS)의 22배에 거래되고 있고 (시장 전체의 평균 P/E가 22x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10년 평균치보다 무려 50%나 높기때문에 현재 주식시장이 엄청 고평가 되어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 펀드매니저는 빅테크 기업 (구글, 아마존,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의 엄청난 주가 상승과 강세장에 베팅하는 옵션시장이 현재의 고평가 랠리를 가능하게 했다고 했는데요.

물론 저 두가지가 엄밀히 말하는 틀린 것은 아닙니다 - 현재 P/E멀티플로 봤을때 굉장히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으며 그 강세에 초대형 IT기업들의 급성장이 있는 것도 사실이니까요.

예전에 비해서 수익이 내기 어려운 시장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식의 핑계는 정말 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자기가 원하는대로 시장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시장이 멍청하다고 하는건 위험하고 엄청나게 오만한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가치 투자자들이 제대로 퍼폼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투자 분석과 결정에서 멀티플에 너무나 지나친 비중을 두고 얘기합니다.

멀티플 (P/E, EV/EBITDA)은 가치평가의 방식중에 하나이고 물론 중요한 척도입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투자 결정에 일부분일 뿐입니다. 동시에 내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계산이 되는데 내년 예상 실적 컨센서스는 항상 시간이 가면서 변화하기때문에 결국에는 계속 변화하는 숫자입니다. 그리고 투자자별로 내년 실적 예상치가 다르기 때문에 투자자 A의 입장에서는 주식을 내년 P/E 15배에 매수하는 반면 실적이 훨씬 더 좋아질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 B의 입장에서는 주식을 내년 P/E 10배에 매수하는 것으로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결국에는 보는 사람 마음이기때문에 멀티플은 큰 그림상은 좋으나 투자 결정의 일부분 일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유명한 가치투자펀드에 일하는 친구와 얘기할때마다 놀란 것이 있는데 그 펀드의 대표님은 투자건을 얘기할 때 무조건 멀티플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멀티플부터 시작하면 초반에 걸러지는 좋은 투자 아이디어가 너무 많습니다. 저의 펀드에서는 밸류에이션은 가장 마지막에 다루어진 것과 굉장히 다르지요.

2. P/E 멀티플이 낮은 기업에 집중한 결과 레버리지가 높은 (빚이 많은) 기업의 주식이 포트폴리오는 가득채우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코로나19가 터지면서 생긴 이슈이긴한데요. 주식시장이 불을 뿜는 상황에서 가치펀드들의 성과가 좋지 않는 것은 이 이슈가 큰 한목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치펀드들은 낮은 P/E 멀티플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P/E가 낮은 이유는 크게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낮은 성장성 그리고 2. 높은 레버리지 (빚이 많습니다).

성장성이 낮으니 비교적 자본조달비용이 낮은 채권발행을 통해서 에쿼티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자본구조 전략입니다.

이전략은 코로나 전에 미국 경제가 워낙 활황이였기때문에 굉장히 잘 먹히던 전략이였습니다. 경제 성장에 따라서 실적이 증가하고 그만큼 빚을 갚아가며 주주 수익이 빠르게 증가했으니까요. 하지만 코로나로 경제 쇼크가 일어나게 되면서 바로 레버지리 효과는 반대로 되었습니다. 실적이 급감하면서 높은 빚을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에는 주가도 바닥를 치고 돌아오지 못하는 것이지요.

레버리지가 워낙 높아서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못하며 주가가 회복을 못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제약업계의 Bausch Health Companies (BHC)와 AT&T (T)입니다. 아래에 주가 차트를 보시면 코로나 이후로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는게 보입니다 - 레버리지 효과는 활황기에는 좋지만 불황에는 회사들에게는 쥐약이지요..

이 펀드매니저는 누구이고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

이런 오만한 발언을 한 펀드매니저는 가치투자로 잘 알려진 Smead Capital Management의 Cole Smead입니다. 이 인터뷰를 보고서 전 바로 그 펀드의 실적을 봤는데요.. 대부분의 펀드가 올해 -10%하락중입니다. S&P가 같은 기간동안 5% 상승하였으니 시장대비 -15% 언더퍼폼한셈이네요. 운용수수료를 제하면 아마 벤치마크대비 더 실적이 않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뮤츄얼펀드이기때문에 아마도 100% 롱포지션이였는데 이런 퍼포먼스는 굉장히 부진한 실적입니다.

올해 대부분 헤지펀드들의 실적에서 사실 가장 큰문제가 쇼트북 (short book)이였는데 100% 롱 포지션을 가져가는 펀드가 이런 실적을 보이면 굉장히 당혹스럽긴합니다.

마치며...

지난 30년간 가치투자자들이 수익내기에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엄청난 경제 팽창, 통화량 확대, 글로벌화로 인한 생산비용 하락 등 그동안 기존 산업 (소비재등)에 속한 기업의 실적 개선이 꾸준히 진행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기존 산업이 시장 주도권을 첨단산업에 넘겨주며 대부분의 기업가치가 현재 수익에서 미래 가치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유명한 벤처 투자자인 Peter Thiel이 항상 기술기업의 가치평가에 대해서 얘기할때마다 다루는 소재입니다).

시장이 변화하고 있을때 투자자는 계속 같은 투자법을 유지한다면 도태될뿐입니다. 그렇다고 가치투자 자체가 도태된것이 아닙니다 - 가치투자는 계속되지만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워렌버핏이 팀원의 생각을 믿고 애플에 투자하여 엄청난 수익을 낸것처럼요. 버크셔해서웨이의 주가는 다른 가치투자펀드보다는 나은 수익을 보여주고 있지요. 워렌버핏/버크셔의 가치투자 스타일은 현재 진행형으로 보입니다.

저는 계속 고배당주에 초고성장주에 투자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버진갤럭틱이 이제 또다른 시험비행을 앞두고 있네요. 테슬라의 실적 개선은 지속되구요. 그럼 여러분 모두 성투하세요!

오늘 글에서 새로운것을 배우셨거나 재밌게 읽으셨다면 공감/추천 부탁드립니다 - 저에겐 큰 도움이 됩니다!

며칠전에 저희 아주 친한 친구한테 문자가 왔습니다. 제가 요즘 버진 갤럭틱~ 버진갤럭틱 (virgin galactic/SPCE)을 하도 외쳐서 저한테 물어본 듯 합니다.. 이친구도 저와 함께 우주가려고 버진 갤럭틱을 매수헀습니다. 그런데 제가 좋아하는 스타우드 (starwood property trust/STWD)는 단타로만 하는 친구입니다.

아주 특이한 친구입니다.. 주가 변동성이 높은 초고성장주는 장기로 계속 늘려가면서 주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리츠/고배당주는 단타를 해먹으니까요.. 그래도 주식 트레이딩으로 돈은 잘버니까 저로썬 할말이 없습니다 - 결국에는 분석을 해서 돈을 벌건 주사위를 던져서 돈을 벌던 불법이나 남에게 피해를 주지만 않으면 모두가 다양한 방법으로 돈을 벌기만 하면 되는 것이니까요

이친구가 갑자기 니콜라 (Nikola/NKLA)에 대해서 물어보더라구요

니콜라 트럭 디자인 정말 너무나 멋지네요~

 

저희의 대화는 아래와 같이 진행됬습니다 (카톡입니다 - 남자들끼리는 통화가 거의 없죠) - 거의 99%로 옮겨왔습니다.

어느날 아침:

친구: 니콜라

친구: 어떤거같냐? ㅋㅋㅋ

자본농사꾼: 몰라

자본농사꾼: ㅋㅋㅋㅋ

자본농사꾼: 프로토타입도 없는

자본농사꾼: 회사니까 건들지마

친구: ㅇㅋㄷㅋ

자본농사꾼: 스토리 금방 깨질지도 몰라

친구: 테슬라 엄청 오르네

친구: 지금 팔까 고민중 ㅋㅋㅋ

대화는 아주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니콜라의 열기가 제대로 느껴지는 대화였습니다 - 니콜라는 벌써 다양한 글로벌 주주를 갖춘 리테일/retail/개미 주식이 된 듯 합니다.

니콜라는 아이디어도 좋고 장기투자자를 주주로 갖춘 기업입니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소재의 장기투자와 주주행동주의 전략으로 유명한 ValueAct를 주요 주주로 두고 있습니다. 거의 100억달러를 운용하고 있는 대형 헤지펀드입니다.

ValueAct - We invest for the long term이라고 합니다!

 

저는 사실 저의 개인 포트폴리오에 초고성장주 주식을 더 추가하고 싶어서 종목을 열심히 찾고 있습니다 (좋은 주식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하지만 제가 아직 니콜라에 투자를 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위의 글에 보시다 시피 바로 "프로토타입의 부재"입니다

프로토타입에 대한 논란이 있으면 저는 초기단계의 초고성장주는 나중에 조금더 비싸게 사더라도 피해갑니다

사실 초고성장주는 현재의 가치보다 그 회사의 플랫폼가치 (기술 / 경영진)를 보고 투자하는데요 - 지금 제품이 실패하더라도 좋은 기술력과 능력있는 경영진이 있다면 다음 제품이 성공하거나 좋은 기술력을 염두해두고 다른 대기업은 기술을 높게 평가하며 회사를 시장가대비 높은 가격에 인수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인수후보에서 한회사만이라도 지르기로 결정하면 높은 가격에 회사가 매각되니까요)

저런 대화를 하고 며칠뒤에 제가 다시 물어봤습니다 - 왜 니콜라 주식을 사고 싶었는지 궁금하고 혹시나 제가 생각하지 못한거를 알려줄지도 모르니까요.

자본농사꾼:

자본농사꾼: 니콜라 왜 투자하고싶었냐

친구: 단타

친구: 먹을라거

자본농사꾼: ㅋㅋㅋ

자본농사꾼: 아니

자본농사꾼: 왜 니콜라가 좋냐고

친구: 몰라 암것도 몰라

친구: 니콜라는

....(이 내용을 블로그에 올리겠다고 했습니다)

친구: 니콜라 걍 모르고 사는거지

친구: 왜사냐

결국에 알아보니 제친구도 별 이유가 없이 그냥 오를 거 같으니까 사려는 것이였습니다 (슈카월드님의 BnP전략이 생각나네요)

여러분 좋아하는 기술을 갖춘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정말 재밌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술을 발전에 대해서 배우고 주주로써 동행하는 것이니까요~

그래도 프로토타입이 확실하거나 proof of concept가 확실한 기업에만 투자하는 것을 강력추천합니다. 바이오텍에서도 좋은 기술력이 공증된 기업은 주가는 바닥을 기다가도 하루아침에 엄청난 가격에 피인수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다양한 gene therapy pure play회사들이 이렇게 인수되었죠. 특히 Audentes... 이제 유전자치료제 M&A 열기도 식은듯하네요..

그럼 오늘도 좋은 초고성장주 기업을 찾아서 다함께 떠나요~ 저도 계속 강력한 플랫폼 기업을 찾아서 차분히 농사를 지으러 갑니다. 여러분이 좋아하시는 플랫폼 기업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세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요.

오늘 내용이 즐거우셨거나 재밌게 읽으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려요 - 저에겐 큰 도움이 됩니다!

정말 놀라운 하루 하루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정말 말도않되는 회사들이 지속적으로 가치가 오르거나 이유없이 빠지는 경우를 너무나 많이 보게되는데요. 지금 펀더멘털에서 많이 벗어나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은듯합니다. 아래에 바이오텍 ETF를 보시면 벌써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것을 볼수있는데요. 코로나19에 직접적인 약을 개발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는 전반적으로 펀더멘털은 하락했고 주가는 당연히 이전보다 낮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가치 창출에 연관있는 임상실험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임상실험 계획에도 변화가 생기게 되고 코로나19의 진행기간 동안 데이터 수집이 어려워지며 처음에 실험을 기획할때 기대한 가정치가 바뀌며 되며 통계학 분석에 리스크가 늘게 됩니다. 이전에 성공률을 80%로 봤다면 이제는 70%로 봐야하는 것이죠. FDA/EMA는 나중에 정상참작하겠다고 해주겠지만 2021년에는 또 어떻게 될지 모르지요...

자본조달 위험성 증가

임상 실험이 오래걸릴수록 비용이 엄청 늘게 됩니다. 보통 바이오텍회사는 고급인력을 많이 보유하는 관계로 일년에 1조원까지 돈을 태우는 회사까지 봤는데요. 기간이 오래될수록 회사의 가치를 키워줄 이벤트가 늦어지고, 그것으로 인해서 더 높은 주가에 자본을 조달하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어 자본조달을 할 경우 기존 주주에 대한 희석도가 높아집니다 (dilution). 예를 들어 천억원을 조달할때 주당 만원 아니면 2만원에 조달하냐에 따라 새로 발행되는 주식이 두배가 될수 있는 것이지요.

코로나19 이후에 신약에 책정할수 있는 가격에 대한 기대치하락

코로나19로 인해서 모든 나라가 최대한 돈을 뿌려대고 있는데요 (한국에서는 3차 추경얘기가 나오네요). 이 빚은 결국에 다른 예산에서 빠져나와야합니다. 코로나 직전에 가장 핫한 이슈가 약 값에 대한 논쟁이였는데요. 앞으로 신약에 엄청난 가격을 붙여서 팔거나 매년 5-6% 수준의 가격 상승도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재무 모델상으로는 시작 가격이 낮아지고 매년 가격 인상도가 낮아지니 주가를 이론적으로 받쳐줘야할 현금흐름이 줄어드는 것이지요

바이오텍 ETF인 XBI가 Covid19 이전주순으로 회복했습니다

INCY는 아무 이유없이 코로나19이전 가겨으로 올랐습니다.

그럼 이런 펀더멘털과 시장가격의 괴리는 어떻게 생긴 걸까요.. 물론 아무도 모르지만 제 생각엔 아래와 같습니다.

반대매매로 인한 인위적 수급

오늘 기사를 보니 2020년 1분기에 헤지펀드에서 총 330억 달러 (거의 40조원)이나 달하는 자금 이탈이 되며 2009년 이후로 최대치라고 하네요.. 공매 포지션이 많은 경우는 펀드가 청산할때 그 주식을 시장에서 계속 사주면서 청산하게됩니다. 펀드가 망해가는 상황에 시간 여유있게 청산하지 않겠지요.. 그냥 막 사는 거고 시장에는 유동성이 부족하다보니 적은 거래량으로도 가격이 크게 움직이게 됩니다.

ETF로인한 수급

ETF는 펀더멘털에 대한 생각없이 그냥 주문을 넣는 구조입니다. 증시가 급반등하며 리테일 자금이 ETF에 몰리면서 ETF가 계속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데요. ETF의 수급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퀀트도 있고, 그것을 보고서 펀더멘털 투자자들도 자기생각보다 비싸다 생각하면서도 우선 수급이 좋으니 계속 들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유동성이 부족하고 ETF는 생각없이 그냥 사다보니 가격이 펀더멘털과 괴리가 넓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도 포트폴리오에서 자신의 생각보다 많이 올랐다는 주식을 한번 찾아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한번에는 다 팔지 마시고 조금씩 팔아보시며 수익을 실현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며칠전에 보셨다시피 자금흐름으로 주가가 유동치는 것을 보면 저희가 보는 유동성은 보기에만 많아 보이지만 한쪽으로만 많이 움직이다보니 정작 필요할때는 부족한 유동성으로 가격 손실이 클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여러분 성투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