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는 어제 장이 마친후에 osteoarthritis 임상 실험이였던 ROCCELL에서 primary와 secondary endpoint 둘다 의미가 없는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인해서 갈라파고스/Galapagos/GLPG 주가는 -7% 이상 하락하고 갈리파고스와 초대형 파트너십을 채결한 길리어드/Gilead/GILD의 주가는 상승장임에도 불구하고 -1% 하락하고 있네요.

갈라파고스/길리어드 파트너십의 가치에 큰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액자가 정말 많았는데요...

1) 필고티닙이 FDA에서 승인을 거부하고 CRL 발급 - 특히 상업적으로 중요한 200mg 용량에 대한 위험 걱정을 드러내며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섰습니다.

2) NOVESA 실험은 성공적이였지만 투자자들이 원했던 데이터였던 폐능력관련 데이터에는 침묵으로 일관.. 폐기능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는 같은 약이 현재 블록버스터가 가능한 IPF 임상실험도 진행중이기때문입니다.

3) 어제 발표된 ROCCELLA 실험의 폭망.. 비록 OA는 워낙 임상실헌을 통해서 효과를 입증하기 어려운 질환이지라서 투자자 기대치는 낮았지만 이정도로 폭망할줄은 몰랐습니다.

갈라파고스는 유럽의 혁신적인 바이오텍간업의 리더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갈라파고스 경영진에 대한 투자자들의 믿음이 깨어지고 있습니다. 길리어드는 워낙 투자자의 기대치가 낮다보니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갈라파고스에게는 차세대 약물인 Toledo 발표이벤트가 이주 중요할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의 기대가 거의 바닥치는 상황에서 투자자심리를 바꿀수있을지가 관건이네요.

2021년 1분기에 IPF 프로그램의 임상 3상 프로그램의 futility analysis를 앞두고 있어서 1분기에는 상승세가 될수도 있지만 당분간 주가는 바이오텍 인덱스 대비 언더퍼폼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길리어드에는 투자자 기대치가 한번더 낮아지는 효과가 있네요.. 성장회기에 대한 스토리가 중요한데 이번 분기 이뮤노메딕스의 실적발표가 어떻게보면 중요한 캐털리스트가 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실적 턴어라운드의 신호탄이 될수도 있습니다.

갈라파고스 경영진은 제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존경하는 팀입니다

보통은 이런 주식은 건들지않지만 높은 현금보유 (주가의 70%이상이 현금입니다),낮은 투자자 기대치와 좋은 경영진은 장기적으로는 파워풀한 반등을 보여줄수있기때문에 계속 관심있게 지켜볼 예정입니다

어제 Vertex Pharmaceuticals (Vertex / 버텍스)가 발표한 짤막한 보도자료가 지금 주가를 완전 박살내고 있습니다.

바로 alpha-1 antitripsin deficiency (AATD)를 치료하는 VX-814 프로그램이 2상에서 중단되었다는 소식인데요. 일반적으로는 임상 2상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것으로는 주가가 많이 움직이지 않는데... 버텍스의 경우에는 지금 -20% 하락하며 제대로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현재 -20%가 하락한 상황에서 시가총액이 560억 달러에 상당하니 어제 뉴스로 하루만에 무려 140억달러에 달하는 시가 총액이 사라진 셈입니다.

임상 2상 프로그램이 갑자기 중단된 것만으로 시가총액의 20% / 140억 달러 / 15조원이상이 순식간에 증발해버렸습니다.

근데 저는 여기서 주워담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보통같았으면 -20%하락한다면 바로 주워담는 경우가 많지만 어느누구도 선뜻나서고 있지 않는데요 - 여기서는 바이오텍 특유의 투자 및 트레이딩에 대한 시사점이 있어서 이렇게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거의 모든 기관투자자들이 아주 적극적으로 주식을 토해내며 주가하락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왜 버텍스 주가는 -20%나 빠졌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1) 경영진에 대한 신뢰 상실, 2) Cystic Fibrosis 이후에 대한 성장 동력에 대한 의구심, 3) 플랫폼 가치 하락이 오늘 하루만에 동시에 진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1) 경영진에 대한 신뢰상실

버텍스 경영진은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신뢰받고 있는 경영진입니다. Cystic fibrosis 사업부의 매출은 거의 매분기마다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며 매출실적에 대한 신뢰도 쌓여있고, Cystic fibrosis 파이프라인 개발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신약개발에 대한 신뢰도 높았습니다.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경영진이 불과 한달전에 기관투자자들과의 미팅에서 AATD프로그램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줬는데 한달만에 이런 최악의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배신감을 갖고 투매에 나설수있습니다.

2) Cystic fibrosis 사업 이후에 대한 성장동력에 대한 의구심

버텍스는 Cystic fibrosis에서 유아독존과 같은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Cystic fibrosis 약은 cystic fibrosis환자에만 쓰일수 있기때문에 성장성이 어느정도 제한적입니다. 동시에 버텍스의 성공을 지켜보고 다양한 제약사들이 지속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기위해서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런 투자자들의 걱정을 잠재워줄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AATD프로그램이였습니다. 비록 2차 물질의 임상프로그램은 계속된다고 하지만 1차물질이 실패한 상황에 2차물질에 큰 기대를 거는 투자자는 없을 것입니다.

게다가 버텍스는 화학약물 (small molecule) 전문회사입니다. 특허보호가 끝나면 복제약 리스크가 굉장히 높기때문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더 좋은 약물을 개발해야합니다.

3) 신약개발 플랫폼가치 하락

투자자들은 버텍스가 지속적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을 개발할수있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버텍스의 신약개발 엔진에 대한 신뢰가 높았기 때문에 안전히 자본을 버텍스에 넣어둘수 있었것입니다. 하지만 버텍스가 처음으로 Cystic fibrosis이외의 개발에 나선 프로그램에서 이런 결과가 나온 마당에 버텍스의 지속적인 신약 개발 능력 및 엔진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며 신약개발 플랫폼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 버텍스 주가는 앞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것인가?

이번 이벤트로 생긴 버텍스의 이미지 회복에는 오랜시간이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에 한분기 실적이 안좋더라도 투자자로써 다음 분기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지금을 기회로 매수에 나서겠지만 이번 이슈는 분기실적과 같은 단기적요소가 아니기때문입니다.

동시에 투자자의 관심분야가 이제 Cystic fibrosis로 100% 전념하게되며 경쟁기업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걱정이 증폭되며 더이상 마음편하게 투자를 할수있는 종목이 아닙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다른 유명한 가치주 투자 헤지펀드에서 근무한 친구와 얘기를 했는데 가치주 헤지펀드들이 버텍스 공매에 나설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현재 밸류에이션은 가치주 수준의 밸류에이션도 아니고 성장주로써 성장 동력을 잃었기에 가치주 밸류에이션 레벨로 하락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200 까지도 하락할수 있는 상황이 나오는 것이지요.

마치며..

장기투자와 헤지펀드의 사랑을 동시에 받고 있던 버텍스가 이렇게 무너지는 것을 보고 저도 사실 굉장히 놀랐습니다. 그만큼 신약 개발이 어렵다는 것으로도 풀이가 되기도 하구요. 장기적으로는 버텍스가 돌아올 것으로 믿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저는 신약개발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은 치료분야인 항암제 아니면 치료방법 (RNA치료제 경우에는 그냥 유전자 발현을 막아주기 때문에 리스트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에 플랫폼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요즘 코로나와 미국정부의 stimulus 관련 뉴스덕분에 좋은 플랫폼 기업을 싸게 모을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열심히 매수중입니다. 여러분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글이 재밌으셨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로슈가 실적발표를 한날이였습니다. 지난번 존슨앤존슨처럼 로슈는 초대형 제약회사로써 로슈의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은 글로벌 제약시장 트렌드를 알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특히나 로슈는 초대형 블록버스터 바이오로직 약인 허셉틴과 아바스틴의 바이오시밀러들이 미국 시장에 진입하면서 유럽에 비해서 주춤했던 미국 바이오 시밀러 시장 형성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알수 있는 기회입니다.

오늘 로슈를 통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제약 트렌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코로나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드디어 바이오시밀러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하고 있습니다.

아바스틴/맙테라와 허셉틴이 작년 대비 각각 -22%/-27%하락하고 -31%하락하였습니다. 파란색이 미국인데요 - 작년대비 엄청나게 하락한게 보입니다.

로슈는 컨퍼런스콜에서 바이오시밀러가 원래 예상했던거보다 더 빠르게 시장에 침투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 코로나기간동안에 의사들이 약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국에 바이오시밀러 회사들이 공격적으로 가격인하에 나서며 의사들이 보험사들에게 떠밀리며 어쩔수없이 로슈 제품에서 테바/셀트리온 (Teva/Celltrion), 화이져 (Pfizer), 그리고 암젠 (Amgen) 제품으로 바꾸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2. Tecentriq (티쎈트릭)의 높은 성장세는 아직 PD-L1이 PD-1과의 경쟁에서 완전히 밀리지 않았습니다.

로슈의 면역관문 전략의 기반약은 PD-L1 agent인 Tecentriq인데요. 로슈는 지속적으로 임상실험에 투자하며 성장을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간암 (HCC/hepatic cellular carcinoma)에서 1차 치료제로 Avastin과 함께 병용이로 승인 받으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벌써 미국의 1차 간암시장에서 승인 4개월만에 17%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2020년 2분기에 주춤했던 희귀병 사업부가 멋지게 성장세로 돌아섰습니다.

로슈의 희귀병 사업의 중추적인 제품인 Hemlibra는 2분기에 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이 걱정을 했었는데요 - 3분기에 멋지게 성장세로 복귀하였습니다. 3분기에는 다시 새로운 환자의 진단과 치료제 switch가 다시 시작되며 Hemlibra 매출이 다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더 중요한점은 로슈는 Hemlibra의 성장에 굉장히 고무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로슈의 희귀병 사업부는 SMA (spinal muscular atrophy) 차세대 치료제인 Evrysdi 출시에도 굉장히 고무되있는 분위기입니다. 특히 Eyvrysdi의 경우에는 경구투여 약으로 Biogen/바이오젠의 Spinraza나 Novartis/노바티스의 Zolgensma보다 훨씬 안전한 치료제입니다.

마치며

바이오시밀러 위험이 더더욱 부각되며 비록 로슈 주가는 하락했지만 전반적으로 제약 업계에는 긍정적인 업데이트였다고 생각합니다. 의미있게 환자의 삶을 개선시키고 연장시켜주는 항암제와 희귀병 치료제들은 훌륭한 데이터가 있는한 꾸준한 수요가 발생하며 코로나 상황에서도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의 바이오 투자 철학은 항상 같습니다 - 최고의 데이터를 갖춘 약을 보유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있는 기업에 꾸준히 투자하는 것입니다.

제약산업은 어느 산업보다도 데이터가 중요한 사업이기에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최고의 경영진과 최고의 신약개발엔진을 갖춰야지만 최고의 데이터를 갖춘 약을 가질수 있습니다.

"환자들이 미래에 필요한 것을 위해서 지금 일을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것을 배우셨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부탁드립니다 - 저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예전에 남긴 글에 제가 대형 제약사 / 바이오텍 기업중에 잘 고른다면 배당과 성장 스토리를 동시에 잡아서 수익을 낼수있다는 점을 말씀드린적이 있었는데요. 이전 사례에는 머크를 말씀드렸습니다 – 이제는 초대형 블록버스터로 거듭난 키투루다/ Keytruda를 통해서 꾸준한 배당을 돌려주면서도 머크의 항암제 사업부의 폭발적은 성장을 이루어 내며 주가 또한 훌륭하게 올랐습니다. 예전에 올린 글은 아래 링크에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배당만이 아니라 밸류에이션이 싼 바이오 제약회사를 사서 주가상승도 노리자! - 제약 바이오 주

바이오 산업은 구조적으로 성장 산업이기때문에 회사는 언제든지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

blog.naver.com

배당만이 아니라 밸류에이션이 싼 바이오 제약회사를 사서 주가상승도 노리자! - 제약 바이오 주식 투자

바이오 산업은 구조적으로 성장 산업이기때문에 회사는 언제든지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

blog.naver.com

머크도 키투루다가 처음에 발매될때는 이정도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저는 그당시에 사모펀드에서 키투루다에 대한 로열티를 매수하는 딜에 참여했는데요.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로열티를 매도하는 측에서 너무 높은 예상치를 갖고 있다고 느끼며 결국에는 그 딜에서는 중간에 나온 것으로 기억합니다. 물론 지금 키투루다의 매출은 2016년에 그 어느누구도 예측하지 못했을 정도로 성공하였습니다.

지금 대형 제약사/바이오테크놀로지 회사중에 저에게 2014/2015년 머크를 연상시켜주는 기업은 현재 시가총액이 800억달러 (85조원)이상에 달하는 초대형 바이오테크 기업인 길리어드(Gilead)입니다.

코로나 치료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렘데시비어의 개발사로 한국에는 알려져있지만 사실 길리어드는 HIV 와 HCV 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가진 글로벌 바이오텍 회사입니다.

최근에 HIV와 HCV에서 경쟁자들이 더 치고 들어오고 특히 HCV의 경우에는 완치를 하기때문에 시장이 줄어들게 되며 길리어드의 매출 또한 Y/Y로 하락세입니다.

바이오텍은 성장 산업이기때문에 성장률을 유지하는것이 굉장히 중요한데 길리어드는 성장으로 돌리지 못하며 주가가 계속 하락했습니다.

올해 중반에 잠시 렘베시비어 뉴스로 주가가 올랐지만 정작 에쿼티 스토리가 많이 바뀌지는 못해서 다시 $60초반으로 회개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길리어드는 계속 지속적인 M&A를 통해서 성장스토리를 그려나가려고 했는데요. 성장스토리를 기존에 길리어드가 강점을 가진 inflammation/fibrosis와 Kite인수를 통해서 진입하게되면immuno-oncology/면역항암제 이 두가지를 두고 계속 인수합병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immuno-oncology에는 많은 딜을 하고 있는데요 - 지난 2년간 진행된 인수합병/파트너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말 많은 딜을 해냈습니다 - 하지만 주가를 올리는데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주가가 오르지 못한 이유는 대부분의 딜이 파이프라인 딜이였기 때문이였는데요. 최근에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핫한 딜인 Immunomedics/이뮤노메딕스를 200억달러에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바로 매출에 도움이 되는 제품인 Trodelvy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Trodelvy는 길리어드의 EPS에 2023년부터 accretive할 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투자자들이 더 신경쓰고 있는 매출에는 바로 도움이 되기 때문에 길리어드의 재무재표에 포함이 되면 크게 세가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현재 투자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HIV/HCV에 대한 매출 노출도가 낮아지면서 diversification 효과

2.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에서 Best-in-class약을 보여하게 되며 대형 시장인 유방암 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입하고 파이프라인으로 다른 solid tumor에도 진입할수 있는 기회 획득

3. 현재 EBITDA에 ~5배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수합병을 통해서 높은 성장성을 가진 에쿼티 스토리를 만들어 내면 multiple expansion까지 가능. EBITDA의 8배까지만이라도 멀티플 확대가 일어나면 엄청난 가치창출(이라고 말하고 주가상승이라고 읽습니다)이 가능해집니다.

길리어드의 주가가 위에 세가지를 반영하려면 결국에는 Trodelvy의 매출이 성공적으로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상회해야 할것으로 예상합니다. 예전에 저는 Trodelvy/Immunomedics에 투자를 했었는데 TNBC시장은 현재 치료제가 없고 Trodelvy는 굉장히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었기때문에 성공적인 launch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동시에 Trop-2라는 매력적인 타겟을 공격하는 ADC로써 다양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HR+/HER2- mBC와 NSCLC에서 좋은 데이터를 보여준다면 엄청난 약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다운사이드는 괜찮은 배당률이 막아준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길리어드는 ~4% 정도의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니 단기적으로 주가가 어렵더라도 좀더 차분히 기다릴수 있는 주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길리어드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혹시나 다르게 생각하시거나 저의 생각이 틀렸다고 생각하신다면 글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은 투자권유가 아닙니다. 간단히 저의 생각을 정리한것으로 여러분의 소중한 자본을 투자하시기전에 한번더 공부해보시고 투자결정에 나서시길 바랍니다.

 

이 글이 재밌으셨거나 새롭게 배우신게 있으시다면 추천/공감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